결론은 Yes.
기후동행카드
고민이 되는 이유는 K-패스와 비교가 되기 때문이다.
기후동행카드
'월 정기권'
따릉이 포함: 일반 65,000원, 청년(만 19~39세) 58,000원.
따릉이 미포함: 일반 62,000원. 청년 55,000원.
서울시 면허 시내버스(간선, 지선, 순환, 마을버스) 무제한 이용 가능
단, 경기/인천 등 타 시도 면허 버스 및 광역버스는 이용 불가
※ 심야버스 이용 가능
실물카드는 편의점에서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다.
가격은 3,000원이며, 매달 충전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신용, 체크카드로 후불결제방식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안드로이드 유저는 삼성페이로도 사용가능하다.
K패스 카드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시내·마을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GTX 등)을 이용하면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 달에 환급
일반인: 20%
청년층(만 19~34세): 30%
저소득층: 53%
최대 월 60회까지 환급 가능.
서울사람이면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 카드 중에서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사용빈도에 따라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기후동행카드 발급 후기
첫 한 달간 기후동행카드를 구매하지 않고, K패스 카드를 신청하였는데 결국은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게 되었다.
도보로 출퇴근을 하기에 한 달 동안 대중교통 이용량을 계산하니 기후동행카드 가격 이상의 대중교통은 이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을 하였으나, 생각보다 대중교통을 더 많이 이용하게 되었다.

(당근거래만으로 만원 이상을 사용)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 중에 고민이 든다면, 우선 기후동행카드를 한 달 충전해서 사용해 보자.
버스 한 정류장 거리라도 버스를 타고 다니게 될 것이다.
기후동행카드 가격 인상설
서울교통공사가 심각한 적자 상태를 이유로 기후동행카드 가격도 올려야 한다는 입장을 서울시에 전달했다고 한다.
이달에서 5월 사이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이 기존 1400원에서 1550원으로 150원 인상될 예정인 가운데 이와 동시에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가격도 함께 올려야 한다는 게 공사의 입장이고 한다.
공사의 적자보다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있는 서울 시민들을 생각해 주길 바란다.
'서울 살이 > 종로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핵 선고일 출근 어떡하나, 무정차 정류소 (0) | 2025.04.03 |
---|